#환경변수
셸은 여러가지 환경변수를 갖는다. 설정된 환경변수는
(echo) $환경변수이름 으로 실행하면 확인할 수 있다.
#Shell script
name.sh
#!/bin/sh //첫행에 꼭 써주어야 한다.
echo "사용자 이름: " $USER //USER라는 환경변수의 내용 출력
echo "홈 디렉토리: " $HOME //HOME라는 환경변수의 내용 출력
exit 0
*실행할때엔 반드시 권한을 755로 바꾸어 주거나 sh 명령어를 사용하여 실행하여야 한다.*
실행권한을 바꾸어주면 ./name.sh 로 실행가능 / 바꾸지 않았을땐 sh ./name.sh로 실행가능
(실행 권한을 바꿀 땐 chmod 755 name.sh)
-변수
1) 변수를 사용전에 미리 선언하지 않으며, 처음 변수에 값이 할당되면 자동으로 변수가 생성됨
2) 모든 변수값은 문자열로 취급한다.
3) 변수이름은 반드시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4) 변수를 대입할 땐 "=" 좌우에 빈칸이 없어야 한다.
-변수의 입력과 출력
특수문자가 들어간 문자를 그대로 출력하기 위해선 ' '로 묶어주거나 \를 붙여야 한다.
var1.sh
#!/bin/sh
myvar="Hello sorry Choi"
echo $myvar //Hello sorry Choi 출력
echo "$myvar" //Hello sorry Choi 출력
echo '$myvar' //$myvar 출력
echo \$myvar //$myvar 출력
echo 값 입력 : //값 입력: 출력
read myvar //입력대기
echo '$myvar' = $myvar //입력받은 값 출력
exit 0
-숫자계산
변수에 숫자를 넣어도 문자열로 취급하는 속성이 있다. 따라서 숫자 계산을 하기 위해선
`expr ` 키워드를 사용해야 한다.
수식에 괄호를 사용하려면 괄호앞에 \(역슬래시)를 붙여줘야 한다. *(곱하기)에도 붙여줘야한다.
numclac.sh
#!/bin/sh
num1=100 //$num1 => 문자열 100
num2=$num1+100 //$num2 => 문자열 100+200
echo $num2 //100+200을 출력
num3=`expr $num1 + 200` //$num3 => 300
echo $num3 //300 출력
num4=`expr /( $num1 + 200 \) / 10 \* 2` //(100+200) / 10 * 2
echo $num4 //60
exit 0
-파라미터 변수
파라미터 변수는 $0 , $1 , $2 등의 형태를 갖는다.
명령어 파일명(변수0) 변수1 변수2 변수3 순서로 오게 된다.
#기본 If문
if [ _조건_ ] //조건문 앞뒤로 한칸씩 띄워주어야 한다.
then
참일 경우 실행
fi
# if ~ else문
if [ 조건 ]
then
참일 경우 실행
else
거짓일 경우 실행
fi
-비교연산자
문자열 비교 | 결과 |
"문자열1" = "문자열2" | 두 문자열이 같으면 참 |
"문자열1" != "문자열2" | 두 문자열이 같지 않으면 참 |
-n "문자열" | 문자열이 NULL이 아니면 참 |
-z "문자열" | 문자열이 NULL이면 참 |
-산술연산자
산술비교 | 결과 |
수식1 -eq 수식2 | 두 수식이 같으면 참 |
수식1 -ne 수식2 | 두 수식이 같지 않으면 참 |
수식1 -gt 수식2 | 수식1이 크면 참 |
수식1 -ge 수식2 | 수식1이 크거나 같으면 참 |
수식1 -lt 수식 2 | 수식1이 작으면 참 |
수식1 -le 수식2 | 수식1이 작거나 같으면 참 |
!수식 | 수식이 거짓이면 참 |
'Web Programming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Linux] 3. HDD관리 실습 (0) | 2019.05.20 |
---|---|
[Ubuntu Linux] 2.HDD 관리 (0) | 2019.05.18 |
[Ubuntu Linux] 1. 기본개념 및 명령어 (0) | 2019.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