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5) 썸네일형 리스트형 [Ubuntu Linux] 4. Shell script #환경변수 셸은 여러가지 환경변수를 갖는다. 설정된 환경변수는 (echo) $환경변수이름 으로 실행하면 확인할 수 있다. #Shell script name.sh #!/bin/sh //첫행에 꼭 써주어야 한다. echo "사용자 이름: " $USER //USER라는 환경변수의 내용 출력 echo "홈 디렉토리: " $HOME //HOME라는 환경변수의 내용 출력 exit 0 *실행할때엔 반드시 권한을 755로 바꾸어 주거나 sh 명령어를 사용하여 실행하여야 한다.* 실행권한을 바꾸어주면 ./name.sh 로 실행가능 / 바꾸지 않았을땐 sh ./name.sh로 실행가능 (실행 권한을 바꿀 땐 chmod 755 name.sh) -변수 1) 변수를 사용전에 미리 선언하지 않으며, 처음 변수에 값이 할당되면 자.. [Ubuntu Linux] 3. HDD관리 실습 #HDD 파티션 나누는 법 1) fsdisk /dev/sdb fdisk 명령어를 사용해 하드디스크를 선택한다. 2) Command : n "새로운(New) 파티션을 분할한다" 는 의미의 n 3) Select : p "Primary" 파티션을 선택하겠다는 의미의 p 4) Partition number : 1 파티션 번호 1을 선택 5) First sector 시작 섹터 번호 (Enter를 눌러 default로 선택) 6) Last sector 마지막 섹터 번호 (Enter를 눌러 default로 선택) 7) Command : t 파일 시스템 유형 선택하겠다는 의미의 t 8) Hex code : fd 'Linux raid autodetect' 유형번호 9) Command : p 설정 내용 확인 10) Com.. [Ubuntu Linux] 2.HDD 관리 #SATA장치와 SCSI 장치 구성 SATA : 하드디스크를 위한 고속 인터페이스 SCSI : 주변기기를 컴퓨터에 연결할 때, 직렬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표준을 말한다. SATA는 주로 PC용 하드디스크나 CD/DVD 장치의 연결에 사용되고 서버용으로는 주로 SCSI 하드디스크를 사용한다고 한다. SATA 0 슬롯에는 각각 30개의 SATA 장치를 장착할 수 있고 SCSI 슬롯에는 각각 15개의 하드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다. #RAID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하는 방식이다. 비용을 절감하면서 신뢰성을 높이며, 성능까지 향상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AID레벨 Linear RAID / RAID 0-5 까지 총 7개의 종류가 있다. (RAID 6은 RAID 5의 변형이다) -.. [Ubuntu Linux] 1. 기본개념 및 명령어 #시스템 종료 root@ubuntu~# init 0 root@ubuntu~# poweroff root@ubuntu~# shutdown -P now root@ubuntu~# halt -p #시스템 재부팅 root@ubuntu~# reboot root@ubuntu~# init 6 root@ubuntu~# shutdown -r now #RUN LEVEL 0 : Power Off 1 : Rescue 2,4 : 사용안함 3 : Text기반의 Munti USER 5 : Graphical 6 : Reboot #시스템에 설정된 Run Level 변경하는 명령어 기본적으로 Run Level target이 default.target으로 소프트링크 설정되어 있는 파일을 변경해보는 명령어이다. ln -sf /lib/syste.. [1st Week] Virtual Box Network 종류 1.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에서 VM은 서로 연결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서로 접근하기 위해선 "Port Forwarding" 과정이 필요하다. 외부 다른 PC에서 VM으로 접근하려 해도 "Port Forwarding" 작업이 필요하다. 2. NAT Network NAT Network는 VM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Port Forwarding"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3. Bridged Adapter Bridged Adapter는 Host의 IP를 VM과 공유한다. 4. Internal Network 5. Host-Only Adapter 6. Generic Driver -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1st Week] HTTP 요청/응답 구조 앞서 설치했던 Burp Suite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HTTP의 요청/응답 구조는 위 그림과 같다 우선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을 보내고 서버에서 응답을 받는 구조이다. 부분을 우선 보자면 처음에 시작줄이 나오는데 시작줄은 방식(Method), URL, Protocol 로 구성된다. 방식 : POST URL : / Protocol : HTTP/1.1 이렇게 구성되어있다. 다음엔 Header가 나온다. Header에는 Referer 와 Cookie라는 것이있다. Referer는 요청 발생 위치를 가지고있다. Cookie에는 서버에서 정해준 Cookie값을 Client가 Server로 가지고 올라가서 서버에서 정해준 Cookie값이 맞는지를 확인한다. Cookie 값에 Content-Type과 Content.. [1st Week] 이것저것 SQL Injection => 'SQL 주입'으로 아이디 입력란을 이용해 SQL문에 접근하는 해킹방법이다. -외부 입력값을 검증없이 쿼리문(SQL문) 생성 및 실행에 사용하는 경우, 쿼리문의 구조와 의미가 변형되어서 실행되는 것 Ex) ID : admin' # PW : b' # 이렇게 입력하게 되면 >>> http://localhost:8080/Directory/login.do?id=admin' #&pw=b' # >>> select * from users where id= 'admin' #' and pw= 'b' #' SQL문에 접근해서 #뒤에 있는 것들을 모두 주석처리를 해버리게 되면서 해킹이 가능해진다. WAS : Web Application Server JAVA EE : (Enterprise Edi.. [1st Week] Story of Internet Web은 Text로 이루어진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HTML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현재 이용하고 당연시 되어있고 이쁘게 꾸며져 있는 홈페이지를 보지만, 초기에는 그렇지 않았다. 초창기에는 글자로만 이루어진것들을 공유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기에 Text로만 이루어진 페이지를 공유하곤 했다. 그러다가 CSS가 생기고 JavaScript가 생기면서 동적인 페이지를 만드는것 까지 가능해진 것이 현재 웹의 상태이다. 현재 웹의 트렌드는 오픈 소스를 누가 얼마나 잘 끌어다가 쓰는지가 관건이며 FrontEnd로 넘어가는 추세이다. URI : Unique Resource Identifier =>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 URL: Unique Resource Location => 정보가 들어.. 이전 1 2 3 4 ··· 12 다음